야규 무네노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규 무네노리는 에도 시대 초기의 검객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병법 지도역을 역임했으며 다이묘의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1571년에 태어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검술 사범을 지냈다. 겐나 2년(1616년) 사카자키 나오모리 사건 해결에 기여하고, 1636년에는 1만 석의 영지를 받아 야규 번을 개척했다. 그는 '활인검'과 '검선일치'를 포함한 병법 사상을 확립했으며, 저서 『병법가전서』는 근세 무도서의 양대 산맥으로 평가받는다. 야규 무네노리는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지며, 작품에 따라 정의로운 검객, 음모를 꾸미는 인물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규번주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에도 야규가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 에도 야규가 - 야규번
야규번은 야규 신카게류의 창시자 야규 무네노리가 쇼군가의 검술 스승이 된 후 시작되어, 한때 하타모토로 격하되기도 했으나 다이묘로 복귀하여 야규 가문이 13대에 걸쳐 통치한 번으로, 역대 번주는 쇼군가의 검술 스승 역할을 수행했다. - 야규씨 - 야규 무네요시
야규 무네요시는 신카게류 검술의 대가이자 야규 가문의 중흥조로, 무투도리라는 독자적인 무술을 개발하고 야규가헌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와의 인연으로 야규 가문이 재건되는 데 기여하며 일본 검술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야규씨 - 야규 미쓰요시
야규 미쓰요시는 도쿠가와 쇼군을 섬긴 야규 무네노리의 아들이자 신음류 검술의 대가로, 쇼군의 검술 사범을 지냈으며 해임 후 12년간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츠키노쇼"를 저술했고 복직 후 감찰관으로 활동하다 고향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그의 삶과 검술은 대중문화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었다.
야규 무네노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규 무네노리 |
로마자 표기 | Yagyū Munenori |
이명 | 신자에몬, 마타에몬 (통칭) |
시호 | 사이코인덴젠타슈타이슈다이츠무네카츠다이코지 |
계명 | 서강원전전단주태수대통종활대거사 |
출생 | 1571년 |
사망 | 1646년 5월 11일 |
직업 | 다이묘, 무술 작가, 검객 |
주요 활동 | 야규 신카게류 |
관직 | |
관위 | 종5위하, 다지마노카미, 증종4위하 |
막부 | 에도 막부 장군가 검술 지남역, 오오메쓰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야스 → 히데타다 → 이에미쓰 |
번 | 야마토야규 번 번주 |
가문 | |
씨족 | 야규 씨 |
부모 | 아버지: 야규 무네요시 (이시우사이) 어머니: 오쿠하라 스케토요의 딸, 오쿠하라 나베 (슌토고젠) |
형제 | 요시카쓰, 규사이, 도쿠사이, 무네아키, 무네노리 |
배우자 | 정실: 마쓰시타 유키츠나의 딸, 오린 측실: 오후지, 오유리 |
자녀 | 4남 2녀: 미쓰요시 (장남), 도모노리 (차남), 무네후유 (삼남), 레쓰도 기센 (사남), 딸 (무토 야스노부의 부인) 외 |
기타 | |
링크 | 일본어 위키백과 |
2. 생애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5] 전투 후, 아버지 대에 잃었던 야마토 국 야규 장원 2,000석을 되찾았다.[6] 1601년에는 훗날 2대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병법(검술) 지도역이 되었고,[6][7][3] 같은 해 9월 11일에 1,000석이 증가하여 총 3,000석의 대신 기본이 되었다. 야규 무네노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고, 후에 이에야스의 아들인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검술 사범이 되었다. 그 후에는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주요 고문 중 한 명이 되었다.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는 쇼군 히데타다 휘하에서 종군하여 도쿠가와군의 안내 역할을 맡았고, 히데타다에게 접근한 도요토미 측 무사 7명을 순식간에 베었다고 한다.[8]
2. 1. 탄생부터 도쿠가와 가문 출사까지
야규 무네노리는 1571년 야마토 국 야규 장원(현재의 나라시 야규정)에서 태어났다.[3] 아버지는 야규 장원의 영주이자 상젠 신쓰나로부터 신음류 인가장을 받은 검술가인 야규 무네요시(세키슈사이)였다. 어머니는 오쿠하라 스케토요의 딸(오나베 또는 슌토 고젠이라고도 한다)이다. 무네노리는 형들과 함께 아버지 밑에서 병법을 배웠다고 한다.젊은 시절의 행적은 기록에 없지만, 아버지 대에 선조 대대로 이어져 내려온 영지가 몰수되었기 때문에 무사가 되어 벼슬길을 구하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에서 진가리를 하고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1594년 5월, 교토 교외의 시치쿠무라에서 아버지 무네요시가 구로다 나가마사의 중개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초대되어 무도취를 선보였을 때,[4] 아버지와 함께 이에야스를 알현하고, 아버지의 추천으로 200석을 받고 이에야스를 섬기게 되었다.[4]
2. 2. 야규 가문 재흥과 쇼군 가문 병법 지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5] 전투 후, 아버지 대에 잃었던 야마토 야규 장원 2,000석을 되찾았다.[6] 1601년에는 훗날 2대 쇼군이 되는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병법(검술) 지도역이 되었고,[6][7][3] 같은 해 9월 11일에 1,000석이 증가하여 총 3,000석의 대신 기본이 되었다. 야규 무네노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겼고, 후에 이에야스의 아들인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검술 사범이 되었다. 그 후에는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주요 고문 중 한 명이 되었다.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는 쇼군 히데타다 휘하에서 종군하여 도쿠가와군의 안내 역할을 맡았고, 히데타다에게 접근한 도요토미 측 무사 7명을 순식간에 베었다고 한다.[8]2. 3. 오사카 전투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 야규 무네노리는 도쿠가와 히데타다를 따라 종군했다.[8] 무네노리는 도쿠가와군의 안내 역할을 맡았으며, 히데타다에게 접근한 도요토미 측 무사 7명을 베었다고 한다.[8] 무네노리가 사람을 베었다고 기록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라고 한다.2. 4. 사카자키 나오모리 사건
겐나 2년(1616년), 사카자키 나오모리(坂崎直盛)의 모반 미수 사건 해결에 기여했다.[9] 이 사건으로 사카자키 가문의 무기 일식과 후시미(伏見)의 저택을 하사받았다. 야규 무네노리는 사카자키 나오모리를 설득하여 자결하게 하였는데, 막부가 약속을 어기고 사카자키 가문을 몰락시키자 이에 책임감을 느껴 사카자키 가문의 문장(紋章)인 니가이가사/二蓋笠일본어를 야규 가문의 문장에 더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야규 니가이가사(柳生二蓋笠)'라고 부른다. 또한 사카자키의 적자인 헤이시로를 거두는 등 사카자키 가문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9]2. 5. 이에미쓰 시대의 활약과 다이묘 등극
야규 무네노리는 1621년 3월 21일, 3대 쇼군이 될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무예 지도역이 되어 신음류(新陰流)를 전수했다.[6] 이에미쓰가 쇼군에 취임한 이후, 무네노리는 이에미쓰의 신임을 얻어 영지를 증가받았다. 1629년 3월에는 종오위하(従五位下) 다지마노카미(但馬守)에 임관했다.[6] 1632년 10월 3일에는 3,000석을 추가로 받았고,[6] 같은 해 12월 27일에는 초대 막부 총목부(惣目付)(대목부(大目付))가 되어 로주와 여러 다이묘(大名)들을 감찰하는 직책을 맡았다.[6] 이후에도 공적을 세워 1636년 8월 14일 4,000석을 추가로 받아 총 1만 석을 소유하게 되어 다이묘가 되었고, 야마토 국 야규 번을 개척했다.[6] 말년에는 1640년 9월 13일에 500석을, 전년에 사망한 차남 유규(友矩)의 유령분 2,000석을 추가로 받아 영지가 1만 2,500석에 달했다.[6][7] 검객의 신분에서 다이묘까지 출세한 것은 일본 역사상 검호(剣豪)로 분류되는 인물 중 그가 유일하다.2. 6. 만년
만년에는 고향인 야규(柳生) 쇼(庄)로 돌아가기도 했으며,야규 진야(柳生陣屋)에 가신들과 인근 주민들을 초대하여 신가쿠(申楽)와 투계(闘鶏) 등으로 즐겼다고 한다.[10] 1646년 에도(江戸) 아자부(麻布) 히가시쿠보(日窪)에 있는 자택에서 병을 얻었다. 3월 26일, 향년 76세로 사망했다.[7][11]유언에 따라 무사(武州) 하시바(端芝)에서 화장한 후 무사(武蔵)국 도요시마군(豊島郡)시모네리마(下練馬)의 원만산 히로토쿠지(圓満山廣徳寺)에 안장되었다.[7][11] 그 외에도, 친구인 사와안 소호(沢庵宗彭)을 초대하여 연 나라시(奈良市) 야규 시모마치(柳生下町)의 신고산 호토쿠젠지(神護山芳徳禅寺)에도 묘소가 있으며, 교토부(京都府)미나미야마시로무라(南山城村) 타야마(田山)의 카쇼지(華将寺) 터에도 묘비가 있다. 또한, 나베시마 모토시게(鍋島元茂)·나베시마 나오요시(鍋島直能)에 의해 현재의 사가현(佐賀県) 오기시(小城市)에 있는 오카야마 신사(岡山神社) 내의 규세이샤(玉成社)에도 모셔져 있다. 같은 해 4월, 그의 죽음을 애도한 이에미쓰(家光)의 추천으로 종사위하(従四位下)를 추증 받았다. 1만 석의 신분으로 종사위하(従四位下)를 추증 받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자식으로는 맹안의 검사로 알려진 장남 산겐(三厳)(쥬베이(十兵衛)), 이에미쓰(家光)의 총애를 받았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요절한 토모규(友矩), 아버지 사후 얼마 안 되어 죽은 산겐(三厳)을 대신하여 쇼군가(将軍家) 사범 역을 계승한 소토(宗冬), 보리사(菩提寺) 호토쿠지(芳徳寺)의 초대 주지가 된 렛도 기센(列堂義仙)의 4남과 다른 2녀가 있다.
3. 평가
야규 무네노리는 에도 시대 초기의 대표적인 검사로, 쇼군 가문의 병법 지도역을 맡아 당시 무예가들 중 최고의 지위에 있었다.[12][13][14][15][16] 아라이 하쿠세키와 가쓰 가이슈 등도 자신의 저서에서 그를 칭찬했다.
단순한 검사를 넘어, '활인검(活人剣)', '큰 병법', '무도(無刀)', '검선일치(剣禅一致)' 등의 개념을 포함한 새로운 병법 사상을 확립하여 후세의 무술과 무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사상을 정리한 『병법가전서』는 『오륜서』와 함께 근세 무도서의 양대 산맥으로 평가되며, 『하가쿠레』나 니토베 이나조의 『무사도』 등 무도 이외 분야의 서적에도 영향을 주었다. 2003년에는 미야모토 무사시와 함께 전일본검도연맹의 검도전당(별격 헌장)에 이름을 올렸다.
신음류(류생 신음류)를 쇼군 가문의 공식 유파로 확립하여 당시 최대의 유파로 성장시켰으며, 이로 인해 많은 다이묘들이 그의 문하생을 지도 역으로 등용하여 류생 신음류는 "천하제일의 류생"이라 불릴 정도로 번성했다.[14]
막신으로서 유능한 관리이자 정치가로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많은 다이묘들에게 두려움과 동시에 의지가 되었다. 다테씨, 나베시마씨(나베시마 모토시게), 호소카와씨(호소카와 다다토시), 모리씨 등과 친분이 있었다. 막부 초대 총목부로 근무하던 당시, 호소카와 다다오키는 그의 편지에서 "(로쥬들조차) 대횡목에게 두려워합니다"라고 적고 있다. 총목부로서의 활동 외에도 1634년 이에미쓰 상락 시에는 사전 숙박 검분 역이나 귀환 길 수리 봉행, 1636년 에도성 증축 시에는 증축 봉행 등도 맡았다.
도쿠가와 이에미쓰에게는 젊은 시절부터 지도 역으로 깊은 신뢰를 받았으며, 마쓰다이라 노부쓰나, 가스가노츠보네와 함께 쇼군을 지탱하는 "솥다리 세 개" 중 하나로 여겨졌다. 직책은 병법 지도 역이었지만 검을 통해 선과 정치를 설파하여 "이에미쓰의 인격적 성장을 촉진한 교육자"로서도 평가받았다. 이에미쓰가 장성한 후에도, 사안과 함께 사적인 상담을 자주 받고, 끝까지 신뢰를 받아, 병문안 자리에서도 병법 자문에 응하고 있다.[17] 또한 이에미쓰는 생애 동안 야규 무네노리 이외의 병법 지도 역을 두지 않았다.
아버지로서는, 네 아들 중 장남인 산겐(쥬베)은 그 행실 때문에 이에미쓰의 불만을 사 징계를 받았고, 셋째 아들인 소토는 성인이 될 때까지 검의 수련을 싫어하는 등, 자녀 교육에 대해 사안으로부터 충고를 받았다.
4. 사상
야규 무네노리(柳生宗矩)의 병법 사상은 그의 저서 『병법가전서』에 잘 나타나 있다.[19] 병법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사회적 측면과 실전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병법 본래의 사상이 모두 서술되어 있다.
사회적 측면:무네노리는 병법(검술)의 이상으로 "활인검(活人剣)"[19]을 제창하였다. 활인검은 "본래 꺼려야 할 존재인 무력도 한 명의 악인을 죽이는 데 사용함으로써 만인을 구하고 '살리는' 수단이 된다"는 의미이다.[19] 이는 전란의 시대가 끝난 후 "태평성대의 검술"의 존재 의의를 새롭게 정의한 것이다. 또한 택암(沢庵)의 가르침에 따른 "검선일치(剣禅一致/剣禅一如)" 개념을 도입하여 "수신(修身)"의 수단으로서의 검술도 제창하였다.[19] 이를 통해 전장에서의 기술에 불과했던 무술로서의 검술을 인간으로서의 고차원을 추구하는 무도(武道)로 승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19] 이러한 사상은 검술뿐만 아니라 유술(柔術)이나 창술(槍術) 등 에도 시대의 각종 무도(武道)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 검도(剣道)에도 계승되었다.[19]
실전적 측면:무네노리는 직접적인 기술뿐만 아니라 "심법(心法)"에도 주목하여 그 중요성을 설파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심법은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현대의 멘탈 트레이닝과 유사한 측면이 강하다. 상대의 움직임과 심리를 통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책략을 사용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실력을 완전히 발휘할 수 있는 심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무네노리는 『병법가전서』에서 이러한 이상적인 심리 상태를 "평정심(平常心)"이라고 칭하고, 마음 수련을 위한 수단으로 선(禪) 수행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5. 주요 저서
- 병법전서(A Hereditary Book on the Art of War)
- 『결합 극의견지심지사(切合極意見之心持之事)』 - 직제자인 사가현(小城藩) 번주 나베시마 모토시게에게 준 서한.
- 『신음류병법심지(新陰流兵法心持)』 - 이에미쓰에게 준 서한으로, 이를 전달하는 로쥬(사카이 타다카쓰)에게 보낸 것이다.
- 『외의 물건의 일(外の物の事)』 - 이에미쓰에게 준 서한. "외의 물건(外の物)"이란 도(太刀) 이외의 물건을 의미하며, 창, 장도, 소와키사시(脇差), 기마술 등의 기술에 더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마음가짐 등도 기록되어 있다.
- 『병법가전서(兵法家伝書)』 - 소우쥬의 대표적인 저서이자 『오륜서(五輪書)』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근대 무도서의 양대 산맥이다. 「진려교(進履橋)」「살인도(殺人刀)」「활인검(活人剣)(「무도지권(無刀之巻)」포함)」의 3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활인검」「큰 병법」「무도(無刀)」 「검선일치(剣禅一致)」등을 설파한 소우쥬의 병법 사상의 집대성으로, 야규 가의 가전서가 된 것 외에, 나베시마 가쓰시게, 나베시마 모토시게, 호소카와 타다토시에게도 주어졌다. 이와나미 문고에서 와타나베 이치로 교주로 간행되었다.
- 『옥성집(玉成集)』 - 나베시마 나오요시에게 준 서한.
6. 대중문화 속의 야규 무네노리
야규 무네노리는 소설, 영화, 드라마,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 다루어지는 인물이다. 실제 역사에서 야규 무네노리는 막부의 병법지도역이자 최대 검술 유파의 종가였으며, 다이묘까지 오른 막부 측근이었다. 이러한 다양한 면모 덕분에, 작품에 따라 그의 인물상은 크게 달라진다.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테 마사무네』, 『도쿠가와 이에미쓰』, 대하드라마 『봄의 언덕』의 원작 『류생 소켄』 등에서는 정의롭고 인정 많은 검성이자 이에미쓰의 좋은 스승으로 묘사된다. 기카와 에이지의 『미야모토 무사시』에서도 성실하고 이성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반면, 고미 코우스케, 아라야마 토오루, 미야모토 마사타카, 아사마츠 켄 등의 소설, 영화·드라마 『류생 일족의 음모』, 대하드라마 『무사시 MUSASHI』 등에서는 막부의 안녕을 위해 음모나 암살을 실행하는 어둠의 인물로 묘사된다. 특히, 히데타다를 악역으로 설정한 작품에서는 그의 부하로서 악역으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소설 류케이이치로의 여러 작품, 만화 『아즈미』, 게임 『신 귀무자 DAWN OF DREAMS』 등). 또한, '뒷 류생'이라 불리는 비밀 임무를 띠고 반란을 막거나 류생 일족을 방해하는 자를 제거하는 닌자, 무술, 암살 집단의 두령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검호소설적 관점(쓰모토 아키라, 토베 신쥬로의 여러 작품, 만화 『무쓰 오엔류 외전 수라의 시대』 등)에서는, 동시대 검호(미야모토 무사시 등)나 같은 류생 일족(아버지 세키슈사이, 아들 쥬베이, 조카 효고스케)과 비교하여 고립된 지위를 얻은 것으로부터, 검이 아닌 정치로 출세한 '검사로서 순수하지 않은 인물'로 해석되어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기도 한다.
오노파 일도류와의 불화 등 류생 일족이나 막부 검술지도역의 불화의 주축으로 묘사되는 경우도 있지만, 에도와 오와리의 조정역이 되어 일족이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하는 전개도 있다.
야규 무네노리가 등장하는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소설: 『야규 무예장(柳生武芸帳)』 (고미 야스유키(五味康祐)), 『마계전생(魔界転生)』 (야마다 후타로(山田風太郎)), 『야규 소우쥬』 (야마오카 소우하치(山岡荘八)), 『암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影武者徳川家康)』 (류케이이치로(隆慶一郎))
- 영화: 『야규 무예장(柳生武芸帳)』 (1957년, 1961년), 『야규 일족의 음모(柳生一族の陰謀)』 (1978년), 『마계전생(魔界転生)』 (1981년, 2003년)
- 텔레비전 드라마: 『춘의 언덕(春の坂道)』 (1971년), 『야규 일족의 음모(柳生一族の陰謀)』 (1978년), 『도쿠가와 무예장 야규 삼대의 검(徳川武芸帳 柳生三代の剣)』 (1993년), 『무사무사시(武蔵 MUSASHI)』 (2003년), 『야규 쥬베에 칠번 승부(柳生十兵衛七番勝負)』 시리즈 (2005년 - 2007년)
- 만화: 『맹렬한 황금의 나라 야규 소우쥬(猛き黄金の国 柳生宗矩)』 (혼구 히로시(本宮ひろ志)), 『쥬 - 인법 마계전생(十〜忍法魔界転生〜)』 (세가와 마사키(せがわまさき)), 『아즈미(あずみ)』 (코야마 유우(小山ゆう))
- 게임: 『전국 무쌍 시리즈(戦国無双シリーズ)』, 『신 귀무자 DAWN OF DREAMS(新 鬼武者 DAWN OF DREAMS)』, 『페이트/그랜드 오더(Fate/Grand Order)』
- 2023년 코에이 테크모 비디오 게임 Fate/Samurai Remnant 2차 DLC에 2024년 4월 공개된 플레이 가능 캐릭터로 등장
참조
[1]
서적
The Life-Giving Sword
Kodansha International
[2]
서적
The Unfettered Mind: Writings from a Zen Master to a Master Swordsman
Shambala
[3]
논문
玉栄拾遺(三)
[4]
논문
玉栄拾遺(二)
[5]
서적
東照宮御実紀付録
[6]
논문
[7]
논문
[8]
문서
兵法家伝書
[9]
서적
柳川史話(全)
[10]
서적
玉栄拾遺
[11]
논문
玉栄拾遺(三)
[12]
서적
不動智神妙録
[13]
서적
本朝武芸小伝
[14]
서적
撃剣叢談
[15]
서적
徳川実紀
1646-05-28
[16]
문서
家光よりの追悼時従四位下贈位書
[17]
문서
正保3年3月20日の家光見舞いの件
1646-03-20
[18]
서적
昔飛衛といふ者あり
[19]
서적
禅の思想と剣術
日本武道館
[20]
문서
中将(島津光久)元来門弟トシテ入魂ニヨリ
[21]
서적
沢庵和尚書簡集
[22]
서적
玉栄拾遺
[23]
서적
沢庵和尚書簡集
[24]
서적
兵法家伝書
小城藩(小城鍋島家)
[25]
서적
直能公御年譜
[26]
서적
細川忠興書状
[27]
서적
宮城の酒づくりの歴史
宮城県酒造協同組合
[28]
서적
政宗公治家記録引証記
[29]
서적
公議所日乗
[30]
문서
寛永16年12月20日細川忠利から忠興宛の書状
1639-12-20
[31]
서적
異説まちまち
[32]
서적
秘剣埋火
https://crd.ndl.go.j[...]
徳間書店
[33]
서적
明良洪範
[34]
서적
翁草
[35]
웹사이트
講談 演目:柳生宗矩の大坂夏の陣七人斬
http://masaie.jp/yag[...]
三原正家
2016-09-01
[36]
웹사이트
剣豪とフルーツの里錦町
http://www.nishiki-m[...]
2020-01-10
[37]
서적
図説日本武道辞典
柏書房
2003
[38]
서적
定本 大和柳生一族―新陰流の系譜―
新人物往来社
1994-02-01
[39]
서적
定本 大和柳生一族―新陰流の系譜―
新人物往来社
199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